안녕하세요. 블로그 파인입시컨설팅 최영철입니다.
요즘 수능 선택과목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작년 수능에서 미적분을 선택한 학생들이 보정점수를 높게 받아 일부 인문계열의
학과로 교차지원을 하면서 인문계열의 학생들이 불이익을 받았다고 하면서
올해도 비슷한 양상이 있지 않을까 해서 걱정하는 학교와 학생들이 있다는 것이다.
기사의 내용중에서 보면 일부 수학 포기자들도 미적분을 선택해서 보정점수를
1점이라도 높게 받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해서 수포자들도 미적분을 생각하는
학생들이 있다는 것이다. 작년 정시 상담을 하면서 자연계열 학생들 중
여러명이 인문계열로의 진학도 고려중이라고 하면서 학과 점수 여부가 어떻게
되는지를 상담하기도 했다. 이처럼 무분별하게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기보다는
지정 과목을 응시해야 지원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해야 되지 않을까 한다.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학생들이 올해도 인문계열 학과로 교차지원을 한다면
확통보다는 미적분을 선택하는 학생이 더욱 증가하지 않을까한다.
결과적으로 이것이 인문 자연 통합교과로 말은 하겠지만 아쉬움이 나오는 것이
아닐까 한다.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도 문·이과 통합시험으로 치러짐에 따라 지난 수능과 마찬가지로 문과생이 불리한 현상이 반복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장에선 벌써 “적성·진로보다 수능 점수 때문에 이과 수학에 올인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 현장에선 올해 ‘문과 불리’ ‘문과 침공’ 양상이 더 심화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앞서 22일 이규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올해 통합 수능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꼭 문과가 불리하다고 보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했지만 현장의 반응은 다르다. 백상민 경북 문명고 교사는 “올해는 최상위권 문과생, 그리고 작년 ‘확률과 통계’ 선택 상위권 재수생들이 ‘미적분’을 볼 것”이라며 “‘확률과 통계’ 상위권 학생들이 빠져나가면 ‘미적분’과의 표준점수 차는 더 벌어질 수밖에 없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첫 문·이과 통합 시험이었던 지난 2022학년도 수능에서는 수학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두드러졌다. 문과생은 주로 확률과 통계를, 이과생은 미적분을 선택하는데 같은 원점수를 받고도 확률과 통계 응시생의 표준점수가 미적분 응시생보다 낮았기 때문이다.
이런 결과가 나온 이유는 2022학년도 수능부터 문이과 구분이 사라진 대신 선택과목에 따라 점수를 조정했기 때문이다. 이전에는 수학 나형을 선택한 문과생과 가형을 선택한 이과생이 따로 경쟁했다. 하지만 지난 수능부터는 모든 수험생이 '공통과목+선택과목' 형태로 함께 경쟁하게 됐다. 이 과정에서 각 선택과목 응시자의 공통과목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조정 점수가 높아진다. 즉, 상위권 학생이 몰린 미적분을 선택해야 조정 점수가 높아질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 2022학년도 정시모집에서는 수학 조정점수를 높게 받은 이과생(미적분 선택자)이 상위권대 인문계 학과에 지원하는 '문과 침공' 현상이 두드러졌다. 한 고교 진학교사는 “아예 수학을 포기한 학생들이 미적분을 선택하기도 한다”며 “어차피 똑같이 찍어도 미적분이 더 점수가 잘 나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문과생들의 ‘수학 올인’ 현상은 더 강해지고 있다. 배영준 보성고 진학교사는 “문과생들이 수학만 붙잡고 있다”며 “수학 때문에 이과 애들한테 치인다고 생각해서다”라고 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최상위권 문과학생들은 이과 수학을 해야 한다는 강박이 생겼다”며 “덩달아 빨리 공통수학을 끝내야 한다는 부담이 생겨서 수학 선행학습이 더 빨라지고 있다”고 했다.
적성이나 진로와 상관없이 점수만을 위해 미적분·기하를 공부하는 학생들도 늘어나는 추세다. 백상민 교사는 “교육대학 진학을 꿈꾸는 문과 학생인데 결국 수능 때문에 2학년 여름방학부터 선택과목을 기하로 바꿨다”며 “오직 수능만을 위해서 적성·흥미와 관계없는 과목을 선택하고, 결과적으로 그 시간에 다른 쪽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배움의 기회를 박탈당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묻지마 교차지원'을 한 이과생에게도 시간 낭비가 될 수 있다. 한 고교 진학 교사는 “지금 당장은 모르겠지만, 적성에 맞지 않는 인문계 전공을 대학 이름만 보고 선택했다가 반수나 중도 이탈하는 경우도 꽤 있을 것”이라며 “대학 입장에서도 교차지원을 받는 게 장기적으로 꼭 좋은 일만은 아니다”고 했다.
교육계에서는 통합 수능의 유불리 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고있다. 당장 바꿀 수 있는 것은 주요 대학의 지원 조건이다. 상당수 대학에서 자연계는 미적분 또는 기하, 과학탐구 일부 과목을 수능 필수 과목으로 지정한 반면 인문계는 제한을 두지 않아 무분별한 교차지원을 부추긴다는 지적이다. 한상무 논산대건고 진학교사는 “대학에서 인문계·자연계 필수 응시과목을 전공에 맞게 지정해 학생을 선발한다면 ‘문과 침공’이 완화될 것이고, 자연스럽게 통합 수능의 문·이과 유불리 논란도 해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선택과목 유불리에 대한 최소한의 자료를 공개해 학생 알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임성호 대표는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백분위와 표준 점수 같은 세부 정보가 필요한데 평가원은 유불리가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선택은 알아서 하라'는 태도"라며 "최소한 세부 통계라도 공개한다면 선택과 집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장기적으로는 수능과 입시까지 고려한 교육과정 개편이 필요하다는 주문이 나온다. 배상훈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문이과를 통합한다 했지만 대학에선 자연계 입학 지정 과목이 있고, 학생들의 선택권을 보장한다며 선택과목을 늘렸지만 수능에서 난이도 차이를 좁히지 못하는 모순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교육과정과 입시가 엇박자가 나면 학생들만 힘든 만큼, 교육의 가치를 제대로 실현시킬 수 있는 수능의 변화까지 생각하고 교육과정 개편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입시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공대 졸업자 4명 중 1명 중 여학생…첫 25%대 (0) | 2022.03.31 |
---|---|
[2023 3월학평] ‘고3 첫 시험대’ 입시기관 원점수 1등급컷.. 화92~94 언88~91 확83~86 미80 기78~84 (0) | 2022.03.30 |
2024학년도, 2025학년도 대입 먼일 아니다 “지금부터 대입 준비 시작해야” (0) | 2022.03.28 |
자기소개서 ‘폐지’ 대학↑…올해 자소서 유지하는 대학은? (0) | 2022.03.26 |
문-이과 통합 세대의 대학 입시, 수학 중요성 더 커졌다....의미 (0) | 2022.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