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블로그 운영자 최쌤티칭 최영철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많은 학생들이 고3 때 열심히 해서 낮은 내신성적을 남은 학기에
올린다면 지금의 대학보다 높은 대학에 진학이 가능한지가 궁금해 하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에서 주의점은 고1과 2학년시기라면 가능하지만 고3이 되는 학생은
어렵다는 것이다. 이유는 바뀐 2015교육과정으로 인해서 발생한다.
많은 학생들이 아직도 남은 3학년 1학기에 성적을 올린다면 내신에서 성적이
변동되지 않을까 생각을 하고 있겠지만 아쉽게도 2015교육개정에서는
어렵다는 것이다. 쉽게 말하자면 인문계열 학생은 사회과목인 경제 등의 과목,
자연계열의 학생이라면 생명이나 화학과목이 일반교과였기에 등급으로
산출이 가능했으나 올해 고3 학생들은 진로과목으로 적용을 받아 등급이 아닌
성취도로 평가되어 성적에 반영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지금의 고등학생이라면
모두 적용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3학년의 교과성적 반영에 대한 영향력은
줄어들다보니 고1 1학기부터 고2 2학기에 대입에 필요한 내신성적은 준비가
끝난다고 보는 것이 맞다. 작년 학생들의 내신성적을 통해 여러 변경된 내용을
본다면 교과전형의 성적 반영이 대학별로 차이가 있었다는 것이다.
일부대학에서는 성취도에 대한 성적을 반영하여 동일한 성적이지만 성취도를
평가하면서 성적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교과로 반영이 되는
과목은 대부분 공통과목과 일반선택과목이였지만 진로선택과목은 대학에
따라 성취도로 평가 되기에 자신이 교과전형으로 지원하고자 한다면 이점도
유의해야 한다. 2022학년도 수시 내용을 참고하면 대학들마다 성취도를
평가하고 반영하는 것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려대 학추는 자체 변환석차등급을 반영하여 과목별 성취도를 교과성적에
반영하지만 성균관대의 경우에는 진로선택과목과 전문교과를 종합적으로
정성평가를 한다는 것이다. 이외에 연세대, 한양대, 중앙대, 이화여대, 경희대 등은
성취도별 배점을 통해서 가감점을 하기에 변별력은 크지 않다.
나머지 165개 대학 중 일부 대학에서는 교과전형에서 진로선택과목을 미반영한다.
교과전형이라고 해도 서울 상위권의 대학에서는 진로과목의 성취도성적을
반영하는 방법이 다르기에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별 평가 방식을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다. 위에 말한 것처럼 3학년에 평가되는 교과성적이
성취도로 평가되기에 3학년의 성적 영향력은 많이 줄거나 거의 없다는 것이다.
많은 학생들에게는 아쉬움이 클 수 있기에 교육개정이 가져온 상황이 마냥
좋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3학년시기에라도 성적 상승을 통해서 성적의 변화를
가져보려 했던 학생들의 사기도 낮아질 수도 있기도 하지만 대입 준비의
마무리하는 시기가 짧아졌다는 것이다. 아직까지는 고3 1학기까지의 성적을
반영하여 평가를 하지만 성적만큼은 2학년 2학기에서 마무리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남은 학기인 3학년 1학기의 성취도와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서 교과외의
내용을 종합전형에서는 반영하고 있기에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재수생의 경우
3학년 2학기까지 반영하면서 모든 생기부의 내용을 반영하기에 관리를 해야
한다. 아무리 3학년의 성적반영이 미비하다고 하지만 대학에서는 아직 고3시기의
성적까지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여기서 간과해서는 안되는 것이 하나 있다. 3학년 시기에 학습하는 과목이 축소가
된 것이 아닌 교과 성적 산출 과목이 줄었다는 것으로 일반교과목의 성적만
산출된다. 예비 고3 뿐 아니라 고1과 2학년 학생들에게도 미치는 영향이 크다.
고1과 2학년 학생들은 아직 시간이 있으니 대입준비가 충분하다고 생각을
할 수 있겠지만 한 개 학기마다의 내신성적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놓치고 있다.
고3 때 열심히 하면 되겠지가 아닌 현재인 지금이 중요하다는 것을 잊지말아야
한다. 2015개정은 고1과 2학년의 성적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것이다.
이런 점을 이해하고 대입 준비를 철저히 해야 대입에서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다.
'입시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학년도 대학별 수시 정시 선발인원 (0) | 2022.02.02 |
---|---|
생기부 평가 4요소 (0) | 2022.02.01 |
생기부 세특관리하기 (0) | 2022.01.31 |
생기부 세특관리하기 (0) | 2022.01.30 |
예비 고3을 위한 입시준비 (0) | 2022.01.28 |